타기관소식
어린이청소년을위한예술지원 |
<2025년 주요 변경사항>
|
1. 사업목적
○ 영·유아, 어린이,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우수 신작 발굴 및 우수 레퍼토리 육성
2. 지원내용
○ 작품 제작비의 일부 지원
3. 지원규모
○ 2천만원 ~ 8천만원
4. 신청자격
○ 영유아, 어린이,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①신작 제작과 ②2차 제작 계획이 있는 예술가 및 단체
※ 영유아(0세~5세), 어린이(6세~11세), 청소년(12세~18세)
* [유형① 신작 제작 세부 안내] - 관객을 대상으로 발표되지 않은 신작 - 기발표된 동일 대본이나 원작을 사용하더라도, 기발표 작품과 무관하게 전면 새로 창작하는 작품 * [유형② 2차 제작 세부 안내] - 1차 제작 작품의 발전된 기획을 제시하면서 발표하고자 하는 작품(기발표 작품과 유사한 재발표 작품은 지원 대상에서 지양함) |
5. 제외대상
○ 문예진흥기금 공모사업 공통안내 내 <지원신청 부적격자>에 해당하는 자
○ ‘예술교육’ 유형에 해당하는 사업
○ 단순 출판물 제작 사업
* 단, ‘그림책 발간’과 ‘모객 행사(전시, 낭독 등)’를 결합한 복합유형은 가능
○ 저작권자(공동 저작권자 및 2차 저작권자 포함)의 동의를 취득하지 않고 저작물 전체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활용하는 작품
(지원신청 마감일 기준/서면 증빙자료 제출 필수)
6. 지원조건
○ 필요 경비의 10% 이상 자기부담금으로 편성(필요 경비=자기부담금+지원신청액)
○ e나라도움(www.bojo.go.kr) 시스템에서 지원금 집행·정산
○ 발표기간 : 2025년 12월까지 작품 발표 완료
* 단, 아르코꿈밭극장(구 학전블루) 대관 예정 작품은, 공연 기간을 2025년 8월 ~ 12월 내에서 선택)
7. 신청기간
○ 2024년 10월 8일(화) 14:00 ~ 10월 31일(목) 15:00까지
8. 신청방법
○ 국가문화예술지원시스템(www.ncas.or.kr)에서 온라인 신청
(이메일, 우편, 방문 접수 불가)
9. 제출서류
제출자료 | 구분 | 작성 양식 및 제출방법 |
① 문화예술진흥기금 지원신청서 | 필수 | • 유형 (신작 제작), 유형 (2차 제작) 2가지 중 해당 유형 선택하여 작성 • 지정양식 사용 : HWP 파일, 첨부파일(엑셀양식) 포함 ※ 삽입되는 이미지는 반드시 저용량으로 사용 • 국가문화예술지원시스템(NCAS) 제출 전에 ‘첨부파일’ 면에 첨부 |
② 대본 | 해당 시 | • 연극/뮤지컬(음악극), 오페라 분야 제출 필수 (자유양식, pdf 파일) |
③ 악보 및 음원 | 해당 시 | • 뮤지컬(음악극), 오페라, 콘서트(자유양식, pdf 파일) 분야 제출 필수 ※ 곡 개수는 자유이며 해당 작품을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의 분량 • 음원자료는 지원신청서 해당 작성란에 링크(url) 기재 |
④ 영상자료/사진자료 | 해당 시 | • (영상자료) 2차 제작 작품을 지원 신청하는 공연예술 분야 제출 필수 ※ 장면영상(O)/홍보영상(X)/하이라이트(X), 영상길이 10분 이상 영상자료는 지원신청서 해당 작성란에 영상을 볼 수 있는 링크(url) 기재 • (사진자료) 2차 제작 작품을 지원 신청하는 시각예술 분야 제출 필수 ※ 사진자료는 지원신청서 해당 작성란에 직접 기입 |
⑤ 저작권확보 증빙서류 | 해당 시 | • 저작권자(공동저작권자 및 2차 저작권자 포함) 동의가 필요한 경우 • 지원신청서 마지막 장에 저작권자의 ‘이용 동의 증빙서’ 이미지 첨부 |
⑥ 신청자(단체) 실적자료 | 선택 | • 국고 보조금 및 지자체 보조금, 공공극장의 초청 등을 받은 실적 ※ 별도 증빙자료 1부(5page 이내, 자유양식, pdf 파일) • 국가문화예술지원시스템(NCAS) 제출 전에 ‘첨부파일’ 면에 첨부 |
10. 선정방법
○ (1차) 서류심의
○ (2차) 인터뷰심의
11. 심의기준
○ 신작
심의기준(가중치) | 세부평가내용 |
작품성 (50%) | [창작의도 및 소재] ∙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창작의도가 뚜렷한가? ∙ 작품의 소재가 참신하고 흥미로운가? [작품 구성안(창작기획안, 주제, 시놉시스 등)] ∙ 창작의도가 작품 구성안에 잘 반영되어 있는가? ∙ 작품의 예술적 수준은 우수한가? |
사업계획타당성 (30%) | [참여인력] ∙ 창작자, 출연자, 스탭 등의 참여인력은 사업계획에 맞게 구성되었고 우수한 역량을 지니고 있는가? |
[제작일정] ∙ 제작 일정 및 계획이 현실적이며 구체적으로 수립되었는가? | |
[관객개발] ∙ 관객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모객 방법 및 발표 조건이 타당하게 되어 있는가? | |
[기대효과] ∙ 본 사업 이후의 작품 유통 및 확산 계획이 구체적으로 수립되어 있는가? | |
[예산] ∙ 전체적인 예산집행 계획이 구체적이고 합리적으로 수립되어 있는가? ∙ 참여 예술가에 대한 사례비가 적절하게 편성되어 있는가? ∙ 세부예산 항목 및 산출근거가 적절한가? | |
사업수행 역량 (20%) | ∙ 기존 활동 내용(경력, 실적)을 보았을 때 사업수행을 위한 충분한 역량을 기대할 수 있는가? |
○ 2차 제작
심의기준(가중치) | 세부평가내용 |
작품성(50%) | ∙ 신청작품의 예술적 수준은 우수한가? ∙ 신청작품의 객관적 성과(국내외 초청공연 건수, 수상건수, 유료 객석점유율 등)가 있는가? |
사업계획의 타당성 (30%) | [작품제작 계획의 타당성] ∙ 재발표에 대한 기획의도 및 제작방향(개선 및 발전 방향 등)은 타당하며 구체적인가? ∙ 창작자, 출연자, 스탭 등의 참여인력은 사업계획에 맞게 구성되었고 우수한 역량을 지니고 있는가? ∙ 작품제작 및 발표 일정 계획이 타당한가? |
[예산집행 계획의 타당성] ∙ 예산편성은 구체적이며 타당한가? ∙ 예산집행의 투명성과 합리적 관리가 기대되는가? | |
기대효과(20%) | ∙ 본 사업 이후 신청작품에 대한 유통 및 확산 계획이 구체적이고 실현가능성이 있는가? |
12. 2025년 예산
○ 1,300백만원
- 신작 700백만원 / 2차 제작 600백만원
13. 문의처
○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극장운영팀
- 세부분야(비중이 가장 큰 분야를 기준으로 함)
· 연극/뮤지컬, 복합 : 02-3668-0056 / 02-3668-0060
· 무용, 음악, 전통예술, 전시 : 02-3668-0013 / 02-3668-0012
* 문의 가능 시간 : 월~금 10:00~17:00(점심시간 제외)
지원신청 유의사항 |
[공통사항] ‣ 문화예술진흥기금 지원신청 공통 안내사항과 사업 공고문 내용을 반드시 확인부탁드립니다. 신청자가 공고문 및 관련 규정 등에 위배되거나 신청서 내용을 허위 기재, 도용, 누락할 경우 신청자의 과실로 간주하여 선정이 취소될 수 있으며, 공고문 미숙지로 발생하는 모든 불이익에 대해서는 어떠한 이의제기를 할 수 없습니다. [세부사항] ‣ 지원결정 이후, 지원신청시 제출한 “주요 창작진 참여 확정” 및 기타 주요 창작 요소가 거짓으로 밝혀질 경우 지원결정 취소 및 지원금 회수 조치가 이행될 수 있습니다. ‣ 사업내용의 일부 세부사항 및 지원규모는 심의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. |
첨부파일 #1: 2025년 문예진흥기금 공모사업 공통사항 안내_..pdf
첨부파일 #2: 2025년 문예진흥기금 공모사업 설명자료(전체)_..pdf